#<한⸳미 정상회담 백신 협력 정리 > <부자 나라 한국에 백신 주는 명분> <백신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인도-태평양 백신 공급에 기여> <노바백스와 차세대 백신 개발> <美 개발·韓 생산> <한국 mRNA 백신 생산 허브> <韓 코백스 기여금 늘려>
전문가들은 한미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를 백신 수급을 예상 했었고 9900만명분 확보했다 하더라도 안심 못하므로 ▲변이 대응, ▲소아·청소년용 접종 물량 필요 ▲부스터 샷▲타 백신 도입 일정도 고려해야 한다며 mRNA백신을 추가 구매해야"한다고 지적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미국의 선진기술과 한국의 생산역량을 결합한 한미 백신 글로벌 포괄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고 우리 나라가 백신허브가 될 수 있는지를 포스팅 하겠습니다.
1.백악관이 찾은 '부자 나라' 한국에 백신 주는 명분
❶한국 같이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나라에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명분이 필요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고심 끝에 그 명분을 '한미 동맹'에서 찾았습니다.
❷바이든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치고 연 공동기자회견에서 "주한미군과 밀접하게, 정기적으로 접촉하는 55만 명의 한국 육해공군 장병 모두에게 완전한 (백신) 접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❸그러면서 "그들(한국군)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미군을 위해서"라고 이유를 밝혔다. 한국군과 함께 훈련하고 교류하는 미군을 코로나19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었습니다.
❹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 군의 준비 태세를 확보하고, 그들(미군과 한국군)이 계속해서 함께 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것이 옳은 일(right thing to do)이기 때문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하며 한미 양국 군이 사용하는 '오늘 밤 싸울 준비가 됐다(Ready to fight tonight)'는 구호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❺다만 이 당국자는 한국이 백신을 받게 될 시점과 지원받을 백신 종류, 지원하는 형식에 대해서는 앞으로 정해질 것이라며 말을 아끼며 또 백신을 빌렸다가 갚는 '스와프' 방식인지, 무상 기증인지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2.백신 글로벌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韓백신 생산 박차
❶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당면 과제인 코로나 극복을 위해 힘을 모을 것”이라며 “양국의 협력은 전 세계 백신 공급을 늘려 코로나의 완전한 종식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이라면서 이 같이 말했습니다.
❷문 대통령은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보건안보 구상을 통해 다자협력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라며 “이러한 백신협력이라는 큰 틀에서 한미동맹의 공고함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의 한국군에 대한 백신 공급 발표에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습니다.
3.인도-태평양 백신 공급에 기여...노바백스와 코로나-독감 같이 잡는 차세대 백신 개발 협력
❶한-미 정상이 세계적 감염병 위기에 대응할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각국의 강점을 발휘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받은 백신 생산 확대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❷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미국 기업에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한 뒤 아시아 지역 등으로 공급하는 ‘백신 허브’ 역할을 하게 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❸정상회담 뒤 발표된 ‘공동성명’에도 ‘포괄적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이라는 문구가 담겼습니다.
❹양국은 “이를 위해 과학자, 전문가 및 양국 정부 공무원으로 구성된 고위급 전문가 그룹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을 발족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❺복지부·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는 양해각서(MOU)를 체결을 통해 두 기업은 코로나19와 독감을 한번에 잡는 '결합 백신'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대응 백신 개발에 함께 나서는 동시에 SK바이오사이언스 생산시설을 활용한 백신 생산에도 서로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❻삼성바이오로직스도 미국 제약사 모더나와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고 기술 이전 및 시험 생산 등을 거쳐 3분기부터 국내에서 모더나 백신의 대규모 생산이 이뤄질 예정이며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원액을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완제 충전'하는 방식으로 수억회분을 생산해 전 세계에 공급하게 됩니다.
❼한-미 양국은 이 밖에도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다자협력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에 한국이 5년 동안 2억달러 신규 공여, 팬데믹 대응 등을 위한 미국 보건후생부와 한국 보건복지부 간 보건 양해각서 갱신, 글로벌 보건 안보와 팬데믹 대비에 중점을 둔 연구개발 및 과학 협력 등을 약속했습니다.
4.美 개발·韓 생산…한국 mRNA 백신 생산 허브로
❶우리나라와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한 것은 수십억 회분에 달하는 글로벌 수요량을 맞추고 물량 확보를 위한 양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입니다.
❷한국은 이번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안정적으로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고 국내 바이오 기업을 통해 글로벌 백신 허브로 거듭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미국도 자국 백신을 한국 기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 세계에 대량으로 공급하는 토대를 확보하게 되는 것입니다.
❸미국 바이오·제약기업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등 한국 첨단기업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해 전 세계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빠르게 구축 중입니다.
❹우리나라는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과 미국 노바백스 백신을 위탁생산하는 SK바이오사이언스 뿐만 아니라 삼성바이오로직스도 미국 백신을 생산하게 됩니다.
❺미국은 화이자를 비롯해 모더나, 노바백스 등 코로나19 백신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많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은 미국 기업만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❻mRNA 백신은 미국 기업인 모더나와 화이자사가 각각 개발한 플랫폼 백신으로 코로나19 예방효과가 94% 이상으로 높으며 현재 두 백신은 미국 등에서 대량 접종되고 있으나 mRNA 백신은 아직 국내 기업이 위탁생산을 맡고 있는 게 없다 보니 해외 수입에만 의존해 수급 불안감이 컸었습니다.
❼이번 파트너십 구축을 계기로 우리나라는 mRNA 백신 수급에 숨통이 트였고 미국도 안정적인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을 통해 대량 생산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습니다.
❽현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과 미국 노바백스 백신을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맺었고 삼성바이오로직스도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경제사절단으로 참여해 미국 백신 개발사 모더나와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입니다.
❾따라서,국내에서만 ▲러시아가 만든 '스푸트니크V' 백신,▲모더나,▲화이자,▲아스트라제네카등 코로나19 백신 4종을 생산하는 환경을 갖춘 셈이고 그중 모더나,화이자는 mRNA 백신이라는 점에서 백신 다양화에도 기여하게 되었습니다.
❿코로나19 백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없다는 점에서 우리나라가 이번 한미 정상 발표를 통해 mRNA 백신 생산 허브로 거듭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5.한미 백신 전문가그룹 발족..韓 코백스 기여금 늘리고 5년내 2억불 지원
❶"팬데믹 극복을 위해 코백스(COVAX) 및 감염병혁신연합(CEPI)과의 조율 등을 포함해 전 세계 국가들에 대한 글로벌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대폭 확대하는 데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한미 글로벌 백신 파터느십 전문가 그룹' 발족에 합의했습니다.
❷아울러 한국은 코백스 AMC에 대한 기여 약속을 올해 중 상당 수준 상향하고, 글로벌보건안보구상 선도그룹(GHSA Steering Committee) 및 행동계획워킹그룹(Action Package Working Groups)에 대한 지지와 협력국간 격차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2021년에서 2025년 기간 동안 2억불을 신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❸한편, 세계보건기구(WHO)의 투명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고 개혁하는데 협력하며 코로나19 발병의 기원에 대해 조사를 지원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다음 포스팅을 참고 하세요!>
#<<한미 경제 협력 종합>> <미국에 8조원 투자 보따리 푼 현대차> <SK이노베이션-포드 합작배터리 공장 설립> <약 19조원을 투자...美대통령 홀린 삼성의 투자> <한미 반도체·배터리 동맹..핵심기술 수출통제 협력>
https://jinluckyguy.tistory.com/223
#<<국방,안보-미사일>> <42년만에 돌아온 '미사일 주권> <탄도 사거리·중량 제한 완전 해제> <한미미사일지침 역사,종료배경,중-북반발,종료효과> <한반도 넘어 우주까지'> <원전 협력>
https://jinluckyguy.tistory.com/224
#<<쿼드 한국가입?>> <남중국해·대만 담은 韓美 정상 공동성명> <킹스칼리지 런던 부교수 한국, 쿼드가입 거부 불구 이미 미국 선택..한중 사이 나빠져>